Skip to content

국제


[중국 마이종목] S&P, 중국계은행 4곳 신용등급 전망 상향조정

0

  ※'중국 마이종목'은 주식시장에서 이슈가 되는 중국 종목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이'는 중국어로 '사다(買)'와 '팔다(賣)'를 모두 뜻하는 단어입니다. 영어로는 '나(My)'를 뜻하기도 하죠. 이 코너를 통해 아주경제 중국본부에서는 매일 독자들이 중국 증시에서 궁금해할 만한 종목을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최근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중국계 은행 4곳의 신용등급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고 중국 온라인매체 제몐망 등이 11일 보도했다.  은행 4곳은 각각 중국 교통은행(601328.SH/03328.HK), 중신은행(601998.SH/00998.HK), 민생은행(600016.SH/ 01988.HK), 광둥발전은행(광파은행)이다. 구체적으로 교통은행, 중신은행, 민생은행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광파은행 신용등급 전망도 기존의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밖에 초상은행 신용등급 전망은 기존의 '긍정적' 등급을 그대로 유지했다 S&P는 중국계 은행이 직면한 경제 리스크가 차츰 개선되고 있다며 신용등급 전망을 상향 조정한 배경을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중국 정부의 채무 증가와 부동산 가격의 안정적 통제 정책이 긍정적인 효과를 내는 듯 보이며, 국내총생산(GDP)과 1인당 GDP가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면서 경제 내 신용 리스크에 대한 완충력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S&P는 만약 이런 정책의 확실성과 일관성이 유지된다면 이는 중국 은행권의 경제리스크 평가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도 했다. 특히 S&P는 광파은행 신용등급 전망 상향 조정과 관련해 부실 대출 증가, 수익성 악화 리스크가 줄고 있다며, 향후 주식시장에 상장한다면 자본력이 한층 더 탄탄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대사 소환에 단교설까지" 불붙은 중국-리투아니아 외교갈등

0

우자오셰 대만 외교부장이 20일(현지 시각) 타이베이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을 통해 유럽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 대만 대표처를 설치하기로 했다고 밝히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최근 들어 중국과 발트해 소국 리투아니아 갈등이 자국 대사 소환이라는 강경 외교 보복 조처로 악화하는 등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중국의 수교국인 리투아니아의 대만 대표처 설치 용인에 중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에 위배된다며 반발한 것이 직접적 계기가 됐다. 중국 관영언론은 중국과 리투아니아간 단교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11일 신경보, 홍콩 명보 등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전날 리투아니아가 대만 대표처 설치를 용인한 것과 관련해 "리투아니아 정부는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존을 심각히 침해했다"며 "중국 정부는 이런 움직임에 단호히 반대 입장을 표명한다"고 반발했다. 이어 "리투아니아 주재 대사를 불러들이기로 결정했고 리투아니아 측에도 자국 주중 대사를 소환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리투아니아 정부가 즉각 잘못을 바로잡고 실질적인 조처를 하는 동시에, 잘못된 길을 더 멀리 가지 말 것을 당부한다"고 경고도 했다. 대표처 설치는 공식적 수교 단계까지는 아니지만, 중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외국이 대만과 공식 관계를 맺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 명보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해외 주재한 자국 대사를 소환한 건 26년 만이다. 앞서 지난 1995년 미국 정부가 리덩후이 전 대만 총통의 방미를 허용하자 중국이 당시 미국 주재 대사를 소환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리투아니아가 앞으로 중국에 계속 도전한다면 대사급인 양국 관계가 대표처 수준으로 격하되거나 단교(斷交)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이미 리투아니아는 중국의 자국 대사 소환이라는 강경 조처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대만과 상호호혜 관계를 이어갈 것"이라고 맞서고 있다. 게다가 EU와 미국까지 리투아니아 편을 들고 나서면서 이는 중국과 미국·EU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리투아니아는 EU회원국이다.   앞서 지난달 우자오셰(吳釗燮) 대만 외교부장은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 대만대표처를 설치하기로 했다고 밝혔으며 중국은 이에 강하게 반발했었다. 당시 중국 외교부는 "세계에는 오직 하나의 중국만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라면서 "'하나의 중국' 원칙은 국제사회의 보편적 합의이며 중국과 다른 나라 사이 관계를 발전시키는 정치적 기초"라고 반발했다.   [사진=중국 외교부 누리집 갈무리]  중국과 리투아니아의 갈등은 20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양국은 1991년 수교한 이래 큰 갈등은 없었으나, 지난 2019년 중국이 홍콩의 선거제 개편을 확정하면서 관계가 틀어지기 시작했다.  리투아니아는 2019년부터 3년 연속 국가안보 보고서에 중국을 국가안보의 주요 위협으로 규정하는 동시에 홍콩, 신장위구르자치구 등 문제에서 중국에 반대하는 입장을 거듭 표명했다. 특히 지난해 10월 집권한 기타나스 나우세다 정권은 자유민주주의를 강조하며 세계보건총회(WHA)에서 대만의 옵서버 지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지하기도 했다. 올해 초에도 리투아니아는 대만에 무역대표부를 설치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5월에는 중국과 중·동유럽 국가 간의 '17+1' 경제 협력체 탈퇴를 선언했다. 지난달에는 대만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2만회분을 지원하기도 했다. 리투아니아가 이처럼 강력한 반중(反中) 노선을 취하는 데 대해 신경보는 "최근 들어 미국과 유럽에서 중국 신장위구르, 홍콩 정책을 비판하며 국가 대표단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보내지 말자는 '외교적 보이콧(참가 거부)' 물결이 일고 있다"며 "유럽국가로서 리투아니아는 중국을 멀리하려는 분위기를 따라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일각에서는 러시아의 위협에 끊임없이 시달리는 리투아니아로서는 유사시 미국, EU의 도움 없이 버티기 힘들기 때문에 미국과 EU의 대중 정책에 협력하고 있는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대사 소환에 단교설까지" 불붙은 중국-리투아니아 외교갈등

0

우자오셰 대만 외교부장이 20일(현지 시각) 타이베이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을 통해 유럽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 대만 대표처를 설치하기로 했다고 밝히고 있다.[사진=AP·연합뉴스] 최근 들어 중국과 발트해 소국 리투아니아 갈등이 자국 대사 소환이라는 강경 외교 보복 조처로 악화하는 등 극한으로 치닫고 있다. 중국의 수교국인 리투아니아의 대만 대표처 설치 용인에 중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에 위배된다며 반발한 것이 직접적 계기가 됐다. 중국 관영언론은 중국과 리투아니아간 단교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11일 신경보, 홍콩 명보 등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전날 리투아니아가 대만 대표처 설치를 용인한 것과 관련해 "리투아니아 정부는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존을 심각히 침해했다"며 "중국 정부는 이런 움직임에 단호히 반대 입장을 표명한다"고 반발했다. 이어 "리투아니아 주재 대사를 불러들이기로 결정했고 리투아니아 측에도 자국 주중 대사를 소환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리투아니아 정부가 즉각 잘못을 바로잡고 실질적인 조처를 하는 동시에, 잘못된 길을 더 멀리 가지 말 것을 당부한다"고 경고도 했다. 대표처 설치는 공식적 수교 단계까지는 아니지만, 중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외국이 대만과 공식 관계를 맺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 명보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해외 주재한 자국 대사를 소환한 건 26년 만이다. 앞서 지난 1995년 미국 정부가 리덩후이 전 대만 총통의 방미를 허용하자 중국이 당시 미국 주재 대사를 소환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리투아니아가 앞으로 중국에 계속 도전한다면 대사급인 양국 관계가 대표처 수준으로 격하되거나 단교(斷交)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이미 리투아니아는 중국의 자국 대사 소환이라는 강경 조처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대만과 상호호혜 관계를 이어갈 것"이라고 맞서고 있다. 게다가 EU와 미국까지 리투아니아 편을 들고 나서면서 이는 중국과 미국·EU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리투아니아는 EU회원국이다.   앞서 지난달 우자오셰(吳釗燮) 대만 외교부장은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 대만대표처를 설치하기로 했다고 밝혔으며 중국은 이에 강하게 반발했었다. 당시 중국 외교부는 "세계에는 오직 하나의 중국만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라면서 "'하나의 중국' 원칙은 국제사회의 보편적 합의이며 중국과 다른 나라 사이 관계를 발전시키는 정치적 기초"라고 반발했다.   [사진=중국 외교부 누리집 갈무리]   중국과 리투아니아의 갈등은 20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양국은 1991년 수교한 이래 큰 갈등은 없었으나, 지난 2019년 중국이 홍콩의 선거제 개편을 확정하면서 관계가 틀어지기 시작했다.  리투아니아는 2019년부터 3년 연속 국가안보 보고서에 중국을 국가안보의 주요 위협으로 규정하는 동시에 홍콩, 신장위구르자치구 등 문제에서 중국에 반대하는 입장을 거듭 표명했다. 특히 지난해 10월 집권한 기타나스 나우세다 정권은 자유민주주의를 강조하며 세계보건총회(WHA)에서 대만의 옵서버 지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지하기도 했다. 올해 초에도 리투아니아는 대만에 무역대표부를 설치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5월에는 중국과 중·동유럽 국가 간의 '17+1' 경제 협력체 탈퇴를 선언했다. 지난달에는 대만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2만 회분을 지원하기도 했다. 리투아니아가 이처럼 강력한 반중(反中) 노선을 취하는 데 대해 신경보는 "최근 들어 미국과 유럽에서 중국 신장위구르, 홍콩 정책을 비판하며 국가 대표단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보내지 말자는 '외교적 보이콧(참가 거부)' 물결이 일고 있다"며 "유럽국가로서 리투아니아는 중국을 멀리하려는 분위기를 따라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일각에서는 러시아의 위협에 끊임없이 시달리는 리투아니아로서는 유사시 미국, EU의 도움 없이 버티기 힘들기 때문에 미국과 EU의 대중 정책에 협력하고 있는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 코로나19 상황] 본토 확진자 83명...방역 초비상

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 장쑤성 난징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세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당국이 봉쇄령을 내리거나 항공과 철도 운행을 제한하고 나섰지만 좀처럼 확산세가 잡히지 않는 모습이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11일 0시 기준 전국 31개 성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11명 발생했다며, 이 중 83명이 본토 확진자라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장쑤성에서 54명, 후베이성에서 14명, 허난성에서 7명, 후난성에서 5명, 윈난성에서 2명, 베이징에서 1명이 나왔다.  중국에서는 지난달 21일부터 장쑤성 난징에서 확진자가 쏟아져 나온 뒤 확산세가 중국 18개 성·시로 확대됐다. 특히 지난달 말부터 중국에서 확진 판정된 환자들이 대부분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파악돼,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전날 본토 확진자가 7개월 만에 세 자릿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해외 역유입 확진자는 28명이다. 지역별로는 저장성에서 12명, 윈난성에서 5명, 상하이에서 4명, 쓰촨성에서 3명, 광둥성에서 2명, 톈진·산둥성에서 1명 나왔다.  이로써 중국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9만4080명으로 늘었고, 사망자는 전날과 같은 4636명이다. 이날 무증상자는 30명 발생했다. 이 중 본토 확진자는 7명으로 후베이성에서 5명, 허난성에서 2명 발생했다. 무증상 감염자는 발열이나 기침, 인후통 등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을 말한다. 위건위는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왔어도 증상이 없는 감염자는 확진자 통계에서 제외, 지난해 4월부터 신규 확진자 수를 공개하고 있다. 의학관찰을 받고 있는 무증상자는 모두 498명이다. 다만 중화권에서는 확진자가 줄어드는 추세다. 이날 대만의 누적 확진자는 전날보다 8명 늘어난 1만5798명으로 집계됐다. 홍콩은 전날보다 4명 늘어난 1만2019명, 마카오는 전날과 동일한 63명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중화권 전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2만7880명이다.

[중국 마이종목] S&P, 중국계은행 4곳 신용등급 전망 상향조정

0

  ※'중국 마이종목'은 주식시장에서 이슈가 되는 중국 종목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이'는 중국어로 '사다(買)'와 '팔다(賣)'를 모두 뜻하는 단어입니다. 영어로는 '나(My)'를 뜻하기도 하죠. 이 코너를 통해 아주경제 중국본부에서는 매일 독자들이 중국 증시에서 궁금해할 만한 종목을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최근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가 중국계 은행 4곳의 신용등급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고 중국 온라인매체 제몐망 등이 11일 보도했다.  은행 4곳은 각각 중국 교통은행(601328.SH/03328.HK), 중신은행(601998.SH/00998.HK), 민생은행(600016.SH/ 01988.HK), 광둥발전은행(광파은행)이다. 구체적으로 교통은행, 중신은행, 민생은행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으며, 광파은행 신용등급 전망도 기존의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밖에 초상은행 신용등급 전망은 기존의 '긍정적' 등급을 그대로 유지했다 S&P는 중국계 은행이 직면한 경제 리스크가 차츰 개선되고 있다며 신용등급 전망을 상향 조정한 배경을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중국 정부의 채무 증가와 부동산 가격의 안정적 통제 정책이 긍정적인 효과를 내는 듯 보이며, 국내총생산(GDP)과 1인당 GDP가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면서 경제내 신용 리스크에 대한 완충력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S&P는 만약 이런 정책의 확실성과 일관성이 유지된다면 이는 중국 은행권의 경제리스크 평가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도 했다. 특히 S&P는 광파은행 신용등급 전망 상향 조정과 관련해 부실 대출 증가, 수익성 악화 리스크가 줄고 있다며, 향후 주식시장에 상장한다면 자본력이 한층 더 탄탄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1일) 6.4831위안...가치 0.02% 상승

0

위안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1일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가 위안화의 달러 대비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0011위안 내린 6.4831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0.02% 상승했다는 의미다. 한편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환율은 7.5979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5.8640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8.9700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77.81원이다.

[中 사립학교 철퇴]'일석삼조' 기대…불타는 교육열 이겨낼까

0

[사진=바이두] 중국이 공교육 정상화를 빌미로 사립 학교 퇴출 작업에 돌입했다. 최근 중국 정부가 힘을 쏟고 있는 사교육 규제의 연장선상이다.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저출산 문제도 완화하며, 명문 학교 인근의 집값 상승까지 잡는 일석삼조 효과를 기대하는 눈치다. 다만 사회주의 체제 특유의 이 같은 옥죄기가 자녀의 신분 상승을 바라고 교육에 목숨을 건 중국 부모들의 열정을 이겨 낼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이다. ◆19만개 사립학교 전면 재점검 중국 교육부 등 8개 부처는 이달 말까지 사립학교에 대한 일제 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학교 설립 및 운영, 재무 상태, 학생·교사 모집, 수업 내용, 행정 관리 등을 들여다보는 중이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2년 내 공립학교로 전환하거나 아예 학교 문을 닫아야 한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 전역의 사립학교는 18만6700곳으로 전체 학교 수의 3분의1 수준이다. 재학생 수는 5564만명으로 전체 학생의 20%를 차지한다. 초등학생의 16.8%, 중학생의 12.2%가 사립학교에 다니고 있다. 이는 일본이나 유럽 등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일본은 전체 초등학생 중 사립학교 재학비율이 1.2%에 불과하고 중학생도 7%를 넘지 않는다. 유럽 역시 3~7%에 불과하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의무교육에 해당해 국가가 직접 교육을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다. 중국도 9년의 의무교육 제도를 두고 있지만, 사립학교 비중만 놓고 보면 사회주의 체제라는 게 무색할 정도다. 그만큼 공교육이 부실하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국가교육자문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는 양둥핑(楊東平) 21세기교육연구원 이사장은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사립학교 비중이 10%를 넘지 않는 게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 대도시는 물론 지방 도시와 농촌도 전체 학교 중 사립학교가 30~60% 수준"이라며 "이 같은 현상은 세계적으로 드물다"고 지적했다.   [사진=바이두] ◆사회주의 국가에서 학교로 돈벌이 2000년대 이후부터 중국 전역에서 사립학교가 우후죽순으로 생겨 났다. 개혁·개방의 진전으로 중국인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자녀 교육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진 영향이다. 개인과 기업은 물론 유명 공립학교까지 분교 형태로 사립학교를 설립해 돈벌이 수단으로 삼고 있다. 지방정부도 교육 예산을 줄이고자 사립학교 설립을 방조했다. '공퇴민진(公退民進·공립은 쇠퇴하고 민영은 흥한다)'이라는 말이 괜히 나도는 게 아니다. 양둥핑 이사장은 "사립학교는 영리성이 매우 강해 최근에는 대규모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잡았다"며 "자본과 부동산 시장까지 결합돼 이익을 도모한다"고 꼬집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각종 부조리가 횡행한다. 사립학교에서 고액을 보장하며 우수한 교사를 빼 가는 바람에 지방과 농촌의 교사 수가 줄어들고 교육 환경이 더욱 열악해졌다는 비판이 나온다. 높은 진학률을 앞세워 성적이 좋은 학생을 싹쓸이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거론된다. 무엇보다 교육비 부담이 만만치 않다. 얼마 전 톈진시가 관내 사립학교 학비 현황을 공개했는데 초등학교는 가장 비싼 곳이 4만8000 위안(약 851만원), 중학교는 15만 위안(약 2661만원)에 달했다. 지방의 한 공립학교 교장은 "예를 들어 부동산 개발상이 설립한 사립학교의 경우 기업이 번 돈으로 학교를 지원하는게 타당한데, 오히려 학교 운영으로 더 많은 돈을 번다"고 토로했다. 지나친 이윤 추구는 각종 사건 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 지역 명문인 청두 7중(중고교)이 설립한 분교 청두 7중 실험학교는 교내 식당에서 곰팡이가 핀 식재료를 사용하다가 적발돼 여론의 뭇매를 맞은 바 있다.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다. 결국 정부가 칼을 빼들었다. 교육부 등은 지난 5월 '사립 교육 촉진법 실시 조례'를 수정하면서 의무교육 단계의 공립학교가 사립학교를 직접 설립하거나 설립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삽입했다. 또 '사립 의무교육 발전 규범에 관한 의견'을 통해 신규 사립학교 설립을 불허하고, 전체 학생 중 사립학교 재학생 비중도 5%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 후난·장쑤·쓰촨성 등 지방정부도 2~3년 내 사립학교 제도 개혁을 완수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사진=바이두] ◆불타는 교육열 잠재울 수 있을까 당국의 팔 비틀기에 울며 겨자 먹기로 공립학교 전환을 선언하는 사립학교도 속출하고 있다. 상하이 장장지퇀학교가 대표적인데 푸둥신구에서 성적 1위를 놓치지 않던 학교다. 지난 5월에는 충칭시 내 사립학교 10곳이 공립학교로 전환하기로 했는데, 충칭 1중과 3중, 8중 등 지역에서 명문으로 이름난 학교들이다. 지난달 2일에는 쓰촨성 메이산시의 헝방자샹외국어학교 인가가 취소됐다. 이 학교는 오는 9월 공립학교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중국의 사립학교 때리기는 올 들어 수위를 높여 온 사교육 규제 정책의 일환이다. 중국 내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은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 증가와 사회적 위화감 확대라는 악효과를 낳고 있다. 신생아 출생이 6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질 만큼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진 요인 중 하나가 교육비 부담 때문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구밍위안(顧明遠) 베이징사범대 교수는 언론에 기고한 글에서 "사립 교육의 난맥상은 젊은 부모들의 불안과 부담을 가중시키고 인구 출생률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여러 정황상 사립 교육 정비와 규범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성토했다. 이어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이고, 교육은 공익 사업"이라며 "자본주의 국가처럼 사립학교는 고비용·고품질, 공립학교는 저비용·저품질이 돼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2019년 기준 중국의 교육 예산은 5조178억 위안에 달해 수준 높은 의무교육을 할 능력이 충분하다"며 "질 낮은 사립학교를 퇴출시키고 국가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국은 사립학교 정비 작업을 통해 명문 학교 인근의 이른바 '학세권' 부동산 가격까지 잡겠다는 각오다.  학세권 주택을 일컫는 쉐취팡(學區房)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현상을 완화하겠다는 것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쉐취팡 투기를 막으라"고 직접 언급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다. 다만 정책이 중국 부모들의 교육열을 이길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중국 역시 신분 상승 통로가 갈수록 좁아져 학부모는 자녀의 명문학교 진학에 목을 맬 수밖에 없다. 투기 세력이 뻥튀기해 놓은 수십억원짜리 쉐취팡을 망설임 없이 구매하는 것도 자녀들이 좋은 학군에서 공부하기를 바라는 일념 때문이다. 한 베이징 소식통은 "시 주석이 내년 재집권을 앞두고 사교육 문제 등 사회 혼란 요소를 일거에 정리하려는 의지가 강한 것 같다"면서도 "위에서 정책을 만들면 아래는 빠져나갈 대책을 만든다(上有政策 下有對策)는 말이 있듯이 강력한 규제만으로 중국 부모들의 교육열을 잠재우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코로나19 상황] 본토 확진자 83명...방역 초비상

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 장쑤성 난징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세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당국이 봉쇄령을 내리거나 항공과 철도 운행을 제한하고 나섰지만 좀처럼 확산세가 잡히지 않는 모습이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11일 0시 기준 전국 31개 성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11명 발생했다며, 이 중 83명이 본토 확진자라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장쑤성에서 54명, 후베이성에서 14명, 허난성에서 7명, 후난성에서 5명, 윈난성에서 2명, 베이징에서 1명 나왔다.  중국에서는 지난달 21일부터 장쑤성 난징에서 확진자가 쏟아져 나온 뒤 확산세가 중국 18개 성·시로 확대됐다. 특히 지난달 말부터 중국에서 확진 판정된 환자들이 대부분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파악돼,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전날 본토 확진자가 7개월 만에 세자릿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해외 역유입 확진자는 28명이다. 지역별로는 저장성에서 12명, 윈난성에서 5명, 상하이에서 4명, 쓰촨성에서 3명, 광둥성에서 2명, 톈진·산둥성에서 1명 나왔다.  이로써 중국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9만4080명으로 늘었고, 사망자는 전날과 같은 4636명이다. 이날 무증상자는 30명 발생했다. 이 중 본토 확진자는 7명으로 후베이성에서 5명, 허난성에서 2명 발생했다. 무증상 감염자는 발열이나 기침, 인후통 등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을 말한다. 위건위는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왔어도 증상이 없는 감염자는 확진자 통계에서 제외, 지난해 4월부터 신규 확진자 수를 공개하고 있다. 의학관찰을 받고 있는 무증상자는 모두 498명이다. 다만 중화권에서는 확진자가 줄어드는 추세다. 이날 대만의 누적 확진자는 전날보다 8명 늘어난 1만5798명으로 집계됐다. 홍콩은 전날보다 4명 늘어난 1만2019명, 마카오는 전날과 동일한 63명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중화권 전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2만7880명이다.

샤오미 레이쥔, 삼성에 견제구... "3년 안에 세계 1위할 것"

0

10일 열린 샤오미 스마트폰 출시 10주년 기념 행사에서 연설 중인 레이쥔 샤오미 최고경영자(CEO) [사진=펑파이 갈무리] 최근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위에 오른 샤오미 레이쥔 최고경영자(CEO)가 자사의 새로운 스마트폰 ‘미믹스4’를 공개하면서 향후 3년 안에 세계 1위 휴대폰 업체가 되겠다고 자신했다. 11일 중국 펑파이 등 다수 매체에 따르면 전날 오후 샤오미는 스마트폰 출시 10주년을 기념해 대규모 온라인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레이 CEO가 직접 나서 샤오미의 스마트폰 역사를 소개하고 앞으로의 비전을 밝히기도 했다. 레이 CEO는 “올해는 샤오미가 휴대폰을 출시한 지 10주년이 되는 해”라며 “그간 샤오미는 큰 변화를 겪었고, 단계적으로 성장했고, 좋은 소식도 많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특히 최근 샤오미의 2분기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16.9%에 이르러 세계 2위에 올랐다”며 “이제 우리의 다음 목표는 3년 안에 세계 1위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샤오미는 최근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급성장하며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샤오미는 올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7%를 기록, 애플(14%)을 제치고 1위인 삼성전자(19%)에도 근접했다. 이날 레이 CEO의 자신감은 이 같은 상황에서 비롯된 셈이다. 이에 따라 샤오미는 삼성전자를 견제하며 1위 자리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이날 기습적으로 열린 행사도 삼성전자 '갤럭시 언팩' 행사를 하루 앞두고 진행한 것으로, 삼성전자를 의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이날 공개된 샤오미의 신제품 미믹스4는 2018년 10월 출시된 ‘미믹스3’의 후속작이다. 카메라를 디스플레이 아래에 탑재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UDC)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샤오미는 이날 미믹스4 외에도 77인치 OLED TV와 태블릿 제품 미패드5 등 다수 신제품을 함께 공개했다.

핀테크 자회사 자본금 늘리는 中 IT 공룡... 업계 '지각변동' 예고

0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온라인 소액 대출 핀테크 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중국 대형 기술기업들이 최근 잇달아 자사 핀테크 업체 자본금 늘리기에 나섰다. 중국 금융 당국의 요구를 충족시킨 뒤, 사업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10일 중국증권망이 인용한 기업정보 플랫폼 톈옌차(天眼査) 통계에 따르면 최근 충칭 메이퇀싼콰이(美團三快)소액대출유한회사(이하 메이퇀산콰이)의 기업 등록 자본금이 30억5800만 위안(약 5400억8000만원)에서 50억 위안으로 늘었다. 메이퇀산콰이는 지난 2016년 11월 중국 음식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메이퇀뎬핑(美團点評)이 전액 출자한 온라인 소액 대출 핀테크 업체다. 그런데 올해 자본금을 늘린 핀테크 업체는 메이퇀산콰이 뿐만이 아니다. 선전 중룽(中融)소액대출(이하 중룽)은 등록자본금을 연초 10억 위안에서 30억 위안으로, 지난 6월 30억 위안에서 50억 위안으로 두 차례나 늘렸다. 또 선전 차이푸퉁(財付通)온라인소액대출(이하 차이푸퉁)도 지난 4월 등록자본금을 25억 위안에서 50억 위안으로 2배로 늘렸다. 주목되는 점은 이들 업체는 모두 중국 대표 기술 대기업 산하 온라인 소액대출 핀테크 업체란 점이다. 중룽은 지난해 7월 짧은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설립한 업체이며, 차이푸퉁은 지난 2013년 10월 텐센트가 세운 핀테크 업체다. 메이퇀과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인터넷 기업이 돌연 자사 온라인 소액대출 업체의 자본금을 늘린 데에는 이유가 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온라인 소액대출 서비스 규제를 강화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중국 금융당국은 온라인 소액대출 규제 초안을 발표했는데, 이 초안에 따르면 핀테크 기업이 전국 규모로 사업을 전개하려면 최소 3년 안에 50억 위안의 등록자본금을 쌓아야 한다. 전국적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핀테크 기업의 상당수가 중국 IT 대기업과 관련돼 있단 점을 감안하고 내놓은 규제 강화 움직임이다.  중국증권망에 따르면 현재 등록 자본금이 50억 위안 이상인 온라인 소액대출 업체는 앤트그룹과 바이두, 쑤닝 산하 핀테크 업체, 그리고 난징시 진퉁(金通)소액대출유한회사다. 최근 자본금 50억 위안 이상 요구조건을 충족시킨 메이퇀산콰이, 차이푸퉁, 중룽도 전국 규모로 사업 전개가 가능해지면서 이들과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청(百程) 중국 링이연구소 원장은 “메이퇀과 텐센트, 바이트댄스가 자본금 확대로 전국 규모로 온라인 소액대출 영업이 가능해지면서 관련 업계의 지각 변동이 예고되고 있다”며 “규모가 작거나, 자본금이 충분하지 않은 업체들은 시장에서 빠르게 도태될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중국 온라인 소액 대출 업체는 6686개로, 지난해 12월 말 7118개에 비해 크게 줄었다. 6개월 만에 432개 업체가 시장에서 퇴출됐다는 의미다.

[중국 마이업종] 중국 전기차배터리 '풍요 속 빈곤'

0

[사진=연합뉴스]   중국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면서 중국 내 배터리 공급 부족 현상이 심각하다. 배터리 수요를 맞추기 위해 업체마다 공장 증설에 나서고 있지만, 대부분 저가·저품질 배터리를 생산하면서 고급 배터리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중국 증권 매체 증권일보는 올해 들어 중국 리튬배터리업계에서 과잉설비 속 공급 부족이라는 모순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꼬집었다.  올해 들어 중국 전기차 시장의 폭발적 성장 속 리튬배터리 수요가 급증하면서 업체들은 배터리 수급난을 해소하기 위해 설비 증설, 투자 등에 공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세계 배터리 1위 업체인 중국 CATL(寧德時代, 닝더스다이)과 중국 리튬 공급망 업계 최강자 강봉리튬(贛鋒鋰業, 간펑리튬),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比亚迪, BYD)가 대표적이다.  강봉리튬은 최근 84억 위안(약 1조4850억원)을 들여 리튬배터리 생산 공장과 연구소를 짓겠다고 밝혔으며, 비야디는 지난달 자사의 모든 전기차 배터리를 리튬인산철(LFP) 기술 기반인 블레이드 배터리로 교체하는 작업을 완료하기도 했다. CATL도 지난 4월 190억 위안(약 3조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선포했다. 지난해 8월 190억 위안 규모의 배터리 생태계 투자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약 8개월 만에 또다시 투자 계획을 선언한 것이다.  이밖에 이브에너지(億緯鋰能, 300014.SZ), 켑켐기술(新宙邦, 300037.SZ) 등 중국 현지 배터리제조업체들도 잇달아 생산량을 확충했다. 중국 증권일보 집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내 리튬 배터리 관련 투자 프로젝트는 37건, 이 중 대외에 공개된 투자액은 3100억 위안(약 55조원)이 넘는다. 하지만 문제는 중국 내 배터리 공급난 속에서 정작 공장 가동률은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지난해 CATL의 공장 가동률은 74.83%에 그쳤다. 지난 2019년 한해 가동률이 90%에 육박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크게 급감한 것이다.  다른 중국 현지 배터리 제조업체 상황도 마찬가지다. 이들 기업의 지난해 가동률은 더 심각한 25~30%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중국 전문가는 "문제는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킬 고급 배터리가 부족하고, 저가·저품질 배터리만 쏟아지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중국 배터리업체의 설비 증설로 배터리 제품이 쏟아지고 있지만 정작 '쓸 만한 제품'은 없는 '풍요 속 빈곤' 현상을 겪고 있단 얘기다. 증권일보는 많은 기업들이 기술이나 안전성보다는 공급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런 저가·저품질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며 이런 사태가 지속되면 소비자의 피해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샤오미 레이쥔, 삼성에 견제구... "3년 안에 세계 1위할 것"

0

10일 열린 샤오미 스마트폰 출시 10주년 기념 행사에서 연설 중인 레이쥔 샤오미 최고경영자(CEO) [사진=펑파이 갈무리] 최근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위에 오른 샤오미의 레이쥔 최고경영자(CEO)가 자사의 새로운 스마트폰 ‘미믹스4’를 공개하면서 향후 3년 안에 세계 1위 휴대폰 업체가 되겠다고 자신했다. 11일 중국 펑파이 등 다수 매체에 따르면 전날 오후 샤오미는 스마트폰 출시 10주년을 기념해 대규모 온라인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레이 CEO가 직접 나서 샤오미의 스마트폰 역사를 소개하고 앞으로의 비전을 밝히기도 했다. 레이 CEO는 “올해는 샤오미가 휴대폰을 출시한 지 10주년이 되는 해”라며 “그간 샤오미는 큰 변화를 겪었고, 단계적으로 성장했고, 좋은 소식도 많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특히 최근 샤오미의 2분기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16.9%에 이르러 세계 2위에 올랐다”며 “이제 우리의 다음 목표는 3년 안에 세계 1위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샤오미는 최근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급성장하며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샤오미는 올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7%를 기록, 애플(14%)을 제치고 1위인 삼성전자(19%)에도 근접했다. 이날 레이 CEO의 자신감은 이 같은 상황에서 비롯된 셈이다. 이에 따라 샤오미는 삼성전자를 견제하며 1위 자리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이날 기습적으로 열린 행사도 삼성전자 '갤럭시 언팩' 행사를 하루 앞두고 진행한 것으로, 삼성전자를 의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이날 공개된 샤오미의 신제품 미믹스4는 2018년 10월 출시된 ‘미믹스3’의 후속작이다. 카메라를 디스플레이 아래에 탑재하는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UDC)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샤오미는 이날 미믹스4 외에도 77인치 OLED TV와 태블릿 제품 미패드5 등 다수 신제품을 함께 공개했다.

[中 사립학교 철퇴]'일석삼조' 기대…불타는 교육열 이겨낼까

0

[사진=바이두 ] 중국이 공교육 정상화를 빌미로 사립 학교 퇴출 작업에 돌입했다. 최근 중국 정부가 힘을 쏟고 있는 사교육 규제의 연장선상이다.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저출산 문제도 완화하며, 명문 학교 인근의 집값 상승까지 잡는 일석삼조 효과를 기대하는 눈치다. 다만 사회주의 체제 특유의 이 같은 옥죄기가 자녀의 신분 상승을 바라고 교육에 목숨을 건 중국 부모들의 열정을 이겨 낼 수 있을 지는 지켜볼 일이다. ◆19만개 사립학교 전면 재점검 중국 교육부 등 8개 부처는 이달 말까지 사립학교에 대한 일제 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학교 설립 및 운영, 재무 상태, 학생·교사 모집, 수업 내용, 행정 관리 등을 들여다보는 중이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2년 내 공립학교로 전환하거나 아예 학교 문을 닫아야 한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 전역의 사립학교는 18만6700곳으로 전체 학교 수의 3분의 1 수준이다. 재학생 수는 5564만명으로 전체 학생의 20%를 차지한다. 초등학생의 16.8%, 중학생의 12.2%가 사립학교에 다니고 있다. 이는 일본이나 유럽 등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일본은 전체 초등학생 중 사립학교 재학 비율이 1.2%에 불과하고 중학생도 7%를 넘지 않는다. 유럽 역시 3~7%에 불과하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의무교육에 해당해 국가가 직접 교육을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다. 중국도 9년의 의무교육 제도를 두고 있지만, 사립학교 비중만 놓고 보면 사회주의 체제라는 게 무색할 정도다. 그만큼 공교육이 부실하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국가교육자문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는 양둥핑(楊東平) 21세기교육연구원 이사장은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경우 사립학교 비중이 10%를 넘지 않는 게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 대도시는 물론 지방 도시와 농촌도 전체 학교 중 사립학교가 30~60% 수준"이라며 "이 같은 현상은 세계적으로 드물다"고 지적했다.   [사진=바이두 ] ◆사회주의 국가에서 학교로 돈벌이 2000년대 이후부터 중국 전역에서 사립학교가 우후죽순으로 생겨 났다. 개혁·개방의 진전으로 중국인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자녀 교육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진 영향이다. 개인과 기업은 물론 유명 공립학교까지 분교 형태로 사립학교를 설립해 돈벌이 수단으로 삼고 있다. 지방정부도 교육 예산을 줄이고자 사립학교 설립을 방조했다. '공퇴민진(公退民進·공립은 쇠퇴하고 민영은 흥한다)'이라는 말이 괜히 나도는 게 아니다. 양둥핑 이사장은 "사립학교는 영리성이 매우 강해 최근에는 대규모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잡았다"며 "자본과 부동산 시장까지 결합돼 이익을 도모한다"고 꼬집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각종 부조리가 횡행한다. 사립학교에서 고액을 보장하며 우수한 교사를 빼 가는 바람에 지방과 농촌의 교사 수가 줄어들고 교육 환경이 더욱 열악해졌다는 비판이 나온다. 높은 진학률을 앞세워 성적이 좋은 학생을 싹쓸이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거론된다. 무엇보다 교육비 부담이 만만치 않다. 얼마 전 톈진시가 관내 사립학교 학비 현황을 공개했는데 초등학교는 가장 비싼 곳이 4만8000 위안(약 851만원), 중학교는 15만 위안(약 2661만원)에 달했다. 지방의 한 공립학교 교장은 "예를 들어 부동산 개발상이 설립한 사립학교의 경우 기업이 번 돈으로 학교를 지원하는게 타당한데, 오히려 학교 운영으로 더 많은 돈을 번다"고 토로했다. 지나친 이윤 추구는 각종 사건 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 지역 명문인 청두 7중(중고교)이 설립한 분교 청두 7중 실험학교는 교내 식당에서 곰팡이가 핀 식재료를 사용하다가 적발돼 여론의 뭇매를 맞은 바 있다.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다. 결국 정부가 칼을 빼들었다. 교육부 등은 지난 5월 '사립 교육 촉진법 실시 조례'를 수정하면서 의무교육 단계의 공립학교가 사립학교를 직접 설립하거나 설립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삽입했다. 또 '사립 의무교육 발전 규범에 관한 의견'을 통해 신규 사립학교 설립을 불허하고, 전체 학생 중 사립학교 재학생 비중도 5%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 후난·장쑤·쓰촨성 등 지방정부도 2~3년 내 사립학교 제도 개혁을 완수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사진=바이두 ] ◆불타는 교육열 잠재울 수 있을까 당국의 팔 비틀기에 울며 겨자 먹기로 공립학교 전환을 선언하는 사립학교도 속출하는 중이다. 상하이 장장지퇀학교가 대표적인데 푸둥신구에서 성적 1위를 놓치지 않던 학교다. 지난 5월에는 충칭시 내 사립학교 10곳이 공립학교로 전환하기로 했는데, 충칭 1중과 3중, 8중 등 지역에서 명문으로 이름난 학교들이다. 지난달 2일에는 쓰촨성 메이산시의 헝방자샹외국어학교 인가가 취소됐다. 이 학교는 오는 9월 공립학교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중국의 사립학교 때리기는 올 들어 수위를 높여 온 사교육 규제 정책의 일환이다. 중국 내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은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 증가와 사회적 위화감 확대라는 악효과를 낳고 있다. 신생아 출생이 6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질 만큼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진 요인 중 하나가 교육비 부담 때문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구밍위안(顧明遠) 베이징사범대 교수는 언론에 기고한 글에서 "사립 교육의 난맥상은 젊은 부모들의 불안과 부담을 가중시키고 인구 출생률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여러 정황상 사립 교육 정비와 규범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성토했다. 이어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이고, 교육은 공익 사업"이라며 "자본주의 국가처럼 사립학교는 고비용·고품질, 공립학교는 저비용·저품질이 돼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2019년 기준 중국의 교육 예산은 5조178억 위안에 달해 수준 높은 의무교육을 할 능력이 충분하다"며 "질 낮은 사립학교를 퇴출시키고 국가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국은 사립학교 정비 작업을 통해 명문 학교 인근의 이른바 '학세권' 부동산 가격까지 잡겠다는 각오다.  학세권 주택을 일컫는 쉐취팡(學區房)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현상을 완화하겠다는 것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쉐취팡 투기를 막으라"고 직접 언급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다. 다만 정책이 중국 부모들의 교육열을 이길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중국 역시 신분 상승 통로가 갈수록 좁아져 학부모는 자녀의 명문 학교 진학에 목을 맬 수밖에 없다. 투기 세력이 뻥튀기해 놓은 수십억원짜리 쉐취팡을 망설임 없이 구매하는 것도 자녀들이 좋은 학군에서 공부하기를 바라는 일념 때문이다. 한 베이징 소식통은 "시 주석이 내년 재집권을 앞두고 사교육 문제 등 사회 혼란 요소를 일거에 정리하려는 의지가 강한 것 같다"면서도 "위에서 정책을 만들면 아래는 빠져나갈 대책을 만든다(上有政策 下有對策)는 말이 있듯이 강력한 규제만으로 중국 부모들의 교육열을 잠재우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래프로 보는 중국]"中공산당 리스크 피해라" 세가지에 쏠리는 자금

0

중국증시.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중국 공산당 규제 리스크 속 중국 주식시장 투자 흐름이 바뀌고 있다. 10일 중국 매일경제신문은 올해 중국 본토 주식시장의 외국인 자금, 거래대금, 신용·대주거래 등 방면에서 나타난 뚜렷한 흐름을 분석하며 신에너지·반도체 등 호(好)경기·고(高)성장 업종 이외 나머지는 사실상 투자 가치가 별로 없는 것처럼 보인다고 보도했다.  최근 중국 공산당의 전방위 규제 속 이들 업종이 중국의 정책적 지원을 받는만큼, 상대적으로 정책 변화 리스크에 따른 노출이 적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인터넷·게임·사교육·부동산 등 분야 기업을 옥죄는 중국 규제 리스크를 피해 외국인들이 집중적으로 투자한 3대 업종은 신에너지·반도체·바이오의약으로 나타났다. 중국서 '스마트머니'로 불리는 외국인 자금은 장세 변화를 읽는 주요 지표로 참고된다. 외국인이 홍콩과 상하이·선전 교차거래 시스템(후강퉁·선강퉁)을 통해 본토 주식에 투자하는 북향자금의 올해 흐름을 살펴보자. 중국 궈성증권 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북향자금의 순유입액은 2300억 위안(약 40조7000억원)이 넘었는데, 이중 40%가 신에너지·반도체·바이오의약 방면에 집중됐다. 신에너지가 481억 위안으로 가장 많았고, 반도체(307억 위안), 바이오의약(138억 위안) 순이었다. 반면, 수년간 외국인이 대거 매집했던 바이주(白酒, 고량주) 업종에선 북향자금 순매도액이 259억 위안에 달했다.    거래대금을 통해서도 앞서 언급한 세 업종에 대한 투자자 관심도를 읽을 수 있다. 중국 둥야첸하이증권에 따르면 전체 주식시장 거래대금에서 전자(반도체), 신에너지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7.3%, 12.75%로 올해 들어 최고치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최근 5일 이동평균을 기준으로 낸 수치다. 보통 개별 업종의 거래대금 비중이 전체의 20%에 달하면 거래 열기가 정점을 찍었다고 본다. 각 증권사는 8월 보고서에서 주요 추천 투자업종 포트폴리오에 전자(반도체), 전력가스설비(신에너지) 등을 담았다. 특히 이달 전자업종은 앞서 10개월 가까이 증권사의 매월 추천종목 1순위였던 화공을 제치고 1위로 떠올랐다. 증권사의 이달 전자업종 추천 비중은 13.33%였다. 화공, 전력가스설비(신에너지)가 2, 3위로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 빚을 내서 투자하는 신용거래융자·신용거래대주(兩融, 신용융자) 방면에서도 신에너지, 반도체, 바이오제약 업종 선호도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중국 시장조사업체 윈드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상하이·선전 증시 신용융자 잔액은 1조8300억 위안이다. 특히 신용융자 잔액이 1000억 위안 이상인 업종은 각각 바이오의약, 전자(반도체), 비은행금융주, 화공이었다. 이밖에 전력가스설비(신에너지), 컴퓨터, 비철금속 업종 신용융자 잔액도 900억 위안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개별 종목 별로 살펴보면 6월1일부터 8월4일까지 투자자들이 신용융자를 통해 가장 많이 순매입한 종목 1위는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위탁생산) 업체인 SMIC였다.   [자료=중국 매일경제신문] 한편 올해 중국 사모펀드,벤처캐피털 시장에서도 세 업종에 대한 투자 선호도가 두드러졌다.  10일 로이터는 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사모펀드·벤처캐피털 투자금이 데이터 중심의 소비자 대면 인터넷기업에서 반도체, 신재생에너지, 의료 등 분야로 이동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중국 온라인 교육 스타트업에 거액을 투자한 글로벌 벤처캐피털은 최근 중국의 '사교육과의 전쟁'에 맞닥뜨려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손실을 입을까 우려한 이들은 현재 '출구전략'을 모색하기에 분주하다고 현지 언론들이 보도하기도 했다.  

[중국 마이종목]헝다자동차등 매각설에…헝다 계열사 주가 강세

0

  ※'중국 마이종목'은 주식시장에서 이슈가 되는 중국 종목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이'는 중국어로 '사다(買)'와 '팔다(賣)'를 모두 뜻하는 단어입니다. 영어로는 '나(My)'를 뜻하기도 하죠. 이 코너를 통해 아주경제 중국본부에서는 매일 독자들이 중국 증시에서 궁금해할 만한 종목을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유동성 위기를 겪는 중국 부동산재벌 헝다그룹(​中國恒大,3333.HK)이 자회사 헝다자동차(恒大汽車, 00708.HK)와 헝다물업(恒大物業, 06666.HK)을 매각할 것이란 소식에 헝다그룹 계열사 주가가 이틀째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10일 홍콩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현지시각) 헝다자동차와 헝다물업 주가는 각각 전 거래일보다 10%, 13% 이상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다. 헝다그룹 주가도 전 거래일보다 6% 넘게 오른 5.78홍콩달러에서 거래중이다. 전날에도 헝다물업(9.6%), 헝다자동차(3.5%), 헝다그룹(5.1%) 주가는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이들 3개 기업은 지난해 말 불거진 헝다그룹의 유동성 위기 속 그동안 주가는 곤두박질쳤다. 헝다그룹 주가가 연초 대비 약 60% 하락한 것을 비롯해 헝다자동차와 헝다물업 주가 낙폭도 각각 57% 25%가 넘었다.  그런데 9, 10일 이틀 연속 주가가 '깜짝' 반등한 건  최근 헝다그룹의 자회사 매각설과 관련이 있다. 9일 중국 현지매체 차이롄 등은 중국의 유수한 국유자본과 민영기업이 헝다그룹 자회사 인수를 위해 헝다그룹과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이른 시일내 거래 계약이 성사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지 언론을 통해 거론되는 유력한 인수 후보는 크게 네 종류로 나뉜다. △헝다그룹이 소재한 광둥성 국유자산위원회 혹은 선전 국유자산위원회 산하 국유기업 △완커·바오리·비자위안 등 동종 부동산재벌기업 △쉬자인 헝다그룹 회장의 화려한 인맥 △헝다그룹 채권자다. 한편 9일 저녁 헝다자동차는 올 상반기 순손실액이 48억 위안에 달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 24억5000만 위안에서 두배로 확대된 것이다. 헝다자동차는 전기차 사업 확대 때문이라고 적자 배경을 설명했다. 아직 투자 단계에 놓여있어 고정자산, 설비, 연구개발 투자 비용이 증가했다는 것. 헝다자동차는 오는 2025년까지 연산 100만대를 목표로 하반기 전기차 양산에 돌입한다고 밝혔지만, 양산 계획이 차질을 빚으며 사실상 내년으로 미룬 상태다.     

[중국 마이종목] 청해염화공업, 15개월 만에 거래 재개...장중 388% 급등

0

※'중국 마이종목'은 주식시장에서 이슈가 되는 중국 종목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이'는 중국어로 '사다(買)'와 '팔다(賣)'를 모두 뜻하는 단어입니다. 영어로는 '나(My)'를 뜻하기도 하죠. 이 코너를 통해 아주경제 중국본부에서는 매일 독자들이 중국증시에서 궁금해할 만한 종목을 소개합니다. [편집자 주]   약 15개월 만에 거래가 재개된 중국 최대 칼리비료(칼륨비료) 업체 청해염화공업(盐湖股份, 000792, SZ) 주가가 10일 장중 한때 388%까지 급등했다.  10일 선전거래소에서 거래를 재개한 청해염화공업은 306.11% 폭등한 35.9위안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장중 한때 주가가 388% 넘기도 했다. 시가총액(시총)은 종가 기준 1950억 위안(약 35조원)으로 단숨에 1000억 위안 고지를 넘어섰다.   청해염화공업은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면서 특별관리종목(ST)으로 분류돼 지난해 5월부터 거래가 중단됐었다. 하지만 지난해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거래가 재개된 것이다.  거래 재개 전부터 청해염화공업은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청해염화공업이 현재 중국 최대 염호(소금호수)인 칭하이 차얼한(察爾汗) 염호의 채굴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차얼한 염호에는 소금 저장량이 약 600억 톤, 리튬 저장량이 약 800만톤, 염화마그네슘 저장량도 약 16억5000만톤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을 염호에서 추출하는 염호 리튬 개발 관련 종목이 주목을 받는 데다, 중국 당국이 최근 칭하이성을 세계급 염호 산업클러스터로 조성하기로 하면서 정책적 수혜가 예상되고 있다.  ​

[중국 마이업종] 중국 전기차배터리 '풍요 속 빈곤'

0

[사진=연합뉴스] 중국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면서 중국 내 배터리 공급 부족 현상이 심각하다. 배터리 수요를 맞추기 위해 업체마다 공장 증설에 나서고 있지만, 대부분 저가·저품질 배터리를 생산하면서 고급 배터리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중국 증권 매체 증권일보는 올해 들어 중국 리튬배터리업계에서 과잉설비 속 공급 부족이라는 모순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꼬집었다.  올해 들어 중국 전기차 시장의 폭발적 성장 속 리튬배터리 수요가 급증하면서 업체들은 배터리 수급난을 해소하기 위해 설비 증설, 투자 등에 공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세계 배터리 1위 업체인 중국 CATL(寧德時代, 닝더스다이)과 중국 리튬 공급망 업계 최강자 강봉리튬(贛鋒鋰業, 간펑리튬), 중국 전기차 업체 비야디(比亚迪, BYD)가 대표적이다.  강봉리튬은 최근 84억 위안(약 1조4850억원)을 들여 리튬배터리 생산 공장과 연구소를 짓겠다고 밝혔으며, 비야디는 지난달 자사의 모든 전기차 배터리를 리튬인산철(LFP) 기술 기반인 블레이드 배터리로 교체하는 작업을 완료하기도 했다. CATL도 지난 4월 190억 위안(약 3조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선포했다. 지난해 8월 190억 위안 규모의 배터리 생태계 투자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약 8개월 만에 또다시 투자 계획을 선언한 것이다.  이밖에 이브에너지(億緯鋰能,300014.SZ), 켑켐기술(新宙邦,300037.SZ) 등 중국 현지 배터리제조업체들도 잇달아 생산량을 확충했다. 중국 증권일보 집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내 리튬 배터리 관련 투자 프로젝트는 37건, 이중 대외 공개된 투자액은 3100억 위안(약 55조원)이 넘는다. 하지만 문제는 중국내 배터리 공급난 속에서 정작 공장 가동률은 낮아지고 있단 점이다. 예를 들면 지난해 CATL의 공장 가동률은 74.83%에 그쳤다. 지난 2019년 한해 가동률이 90%에 육박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크게 급감한 것이다.  다른 중국 현지 배터리 제조업체 상황도 마찬가지다. 이들 기업의 지난해 가동률은 더 심각한 25~30%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중국 전문가는 "문제는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킬 고급 배터리가 부족하고, 저가·저품질 배터리만 쏟아지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중국 배터리업체의 설비 증설로 배터리 제품이 쏟아지고 있지만 정작 '쓸 만한 제품'은 없는 '풍요 속 빈곤' 현상을 겪고 있단 얘기다. 증권일보는 많은 기업들이 기술이나 안전성보다는 공급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런 저가·저품질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며 이런 사태가 지속되면 소비자의 피해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핀테크 자회사 자본금 늘리는 中 IT 공룡... 업계 '지각변동' 예고

0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온라인 소액 대출 핀테크 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중국 대형 기술기업들이 최근 잇달아 자사 핀테크 업체 자본금 늘리기에 나섰다. 중국 금융 당국의 요구를 충족시킨 뒤, 사업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10일 중국증권망이 인용한 기업정보 플랫폼 톈옌차(天眼査) 통계에 따르면 최근 충칭 메이퇀싼콰이(美團三快)소액대출유한회사(이하 메이퇀산콰이)의 기업 등록 자본금이 30억5800만 위안(약 5400억8000만원)에서 50억 위안으로 늘었다. 메이퇀싼콰이는 지난 2016년 11월 중국 음식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메이퇀뎬핑(美團点評)이 전액 출자한 온라인 소액 대출 핀테크 업체다. 그런데 올해 자본금을 늘린 핀테크 업체는 메이퇀싼콰이 뿐만이 아니다. 선전 중룽(中融)소액대출(이하 중룽)은 등록자본금을 연초 10억 위안에서 30억 위안으로, 지난 6월 30억 위안에서 50억 위안으로 두 차례나 늘렸다. 또 선전 차이푸퉁(財付通)온라인소액대출(이하 차이푸퉁)도 지난 4월 등록자본금을 25억 위안에서 50억 위안으로 2배로 늘렸다. 주목되는 점은 이들 업체는 모두 중국 대표 기술 대기업 산하 온라인 소액대출 핀테크 업체란 점이다. 중룽은 지난해 7월 짧은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설립한 업체이며, 차이푸퉁은 지난 2013년 10월 텐센트가 세운 핀테크 업체다. 메이퇀과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인터넷 기업이 돌연 자사 온라인 소액대출 업체의 자본금을 늘린 데에는 이유가 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온라인 소액대출 서비스 규제를 강화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중국 금융당국은 온라인 소액대출 규제 초안을 발표했는데, 이 초안에 따르면 핀테크 기업이 전국 규모로 사업을 전개하려면 최소 3년 안에 50억 위안의 등록자본금을 쌓아야 한다. 전국적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핀테크 기업의 상당수가 중국 IT 대기업과 관련돼 있단 점을 감안하고 내놓은 규제 강화 움직임이다.  중국증권망에 따르면 현재 등록 자본금이 50억 위안 이상인 온라인 소액대출 업체는 앤트그룹과 바이두, 쑤닝 산하 핀테크 업체, 그리고 난징시 진퉁(金通)소액대출유한회사다. 최근 자본금 50억 위안 이상 요구조건을 충족시킨 메이퇀싼콰이, 차이푸퉁, 중룽도 전국 규모로 사업 전개가 가능해지면서 이들과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청(百程) 중국 링이연구소 원장은 “메이퇀과 텐센트, 바이트댄스가 자본금 확대로 전국 규모로 온라인 소액대출 영업이 가능해지면서 관련 업계 지각 변동이 예고되고 있다”며 “규모가 작거나, 자본금이 충분하지 않은 업체들은 시장에서 빠르게 도태될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중국 온라인 소액 대출 업체는 6686개로, 지난해 12월 말 7118개에 비해 크게 줄었다. 6개월 만에 432개 업체가 시장에서 퇴출됐다는 의미다. ​ 

[중국증시 마감]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에도 연이틀 상승

0

중국증시 마감 [사진=로이터]   10일 중국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5.29포인트(1.01%) 상승한 3529.93으로 장을 마감했다. 선전성분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6.15포인트(0.78%) 올린 1만5057.59로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지수 역시 11.92포인트(0.34%) 뛴 3468.67로 장을 닫았다. 상하이판 '나스닥' 커촹반 추적 지수인 커촹50지수는 13.76포인트(0.87%) 올린 1588.19로 장을 닫았다. 상하이와 선전 증시의 거래 대금은 각각 5534억 위안, 7906억 위안으로, 15거래일 연속 총 1조 위안을 돌파했다. 가구(-1.93%), 화공(-0.67%), 비철금속(-0.61%) 등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주류(6.80%), 항공기(3.89%), 석유(2.04%), 식품(1.97%), 호텔 관광(1.87%), 조선(1.81%), 발전설비(1.71%), 금융(1.67%), 제지(1.59%), 석탄(1.10%), 환경보호(1.09%), 철강(1.03%), 농·임·목·어업(0.97%), 전자 IT(0.95%), 부동산(0.88%), 바이오제약(0.83%), 의료기기(0.59%), 개발구(0.55%), 가전(0.55%), 차신주(0.42%), 교통 운수(0.34%), 자동차(0.30%), 전력(0.11%), 시멘트(0.10%) 등이다.    이날 중국증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에도 상승했다. 최근 발표된 중국 경제 지표에서 경기 둔화세가 뚜렷이 감지, 중국 당국이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란 기대감에 투자 심리를 부추겼다는 분석이다. 모건스탠리는 중국이 하반기에 지급준비율(지준율) 추가 인하와 인프라 투자 확대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했다. 인민은행은 지난달 15개월 만에 지준율을 0.5%포인트 내렸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전날 발표한 2분기 통화정책 집행보고서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지 않는 가운데 외부환경이 한층 어렵고 복잡해지고 있다"며 "중국 경제회복이 여전히 불안정하다"며 유연하고 적절한 통화정책을 유지할 방침을 시사했다. 여기에 전날에 이어 주류, 가전, 식품 등 종목이 강세를 보였다. 특히 최근 조정장을 보였던 바이주(白酒, 고량주)가 이날 다시 상승세를 타면서 증시를 끌어올렸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세와 탄저병 발병이 상승폭을 제한했다. 10일 0시 기준 중국 전국 31개 성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43명 가운데 108명이 본토 확진자인 것으로 전해졌다. 본토 확진자 수가 세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지난 1월 24일 이후 약 7개월 만이다.  아울러 이날 탄저병 환자까지 보고돼 우려가 커졌다. 베이징시 질병예방통제센터에 따르면 허베이성 청더시에서 베이징으로 들어온 환자 1명이 전날 탄저병으로 진단됐다. 환자는 현재 격리 치료를 받고 있으며 예방 통제 조치를 했다고 당국이 전했다.  탄저병은 인간과 동물이 모두 걸릴 수 있는 전염성 질환으로 치사율이 5~20%에 달한다. 감염 초기 24~48시간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으면 치사율이 95%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은 일반적으로 탄저병에 걸린 동물과 접촉했을 때 이 병에 걸린다. 한편 이날 달러 대비 위안화 기준 환율은 6.4842위안으로 고시됐다. 이는 위안화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03% 하락했다는 의미다. 

심상치 않은 중국 경제...올해 하반기 어디로?

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선명한 브이(V)자 곡선을 그려온 중국 경제가 올해 하반기 심상치 않다. 최근 실물경제가 빠르게 식어가면서 하반기 중국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진 것이다. 글로벌 투자 은행들도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올해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8.6%에서 8.3%로 낮췄다. 이마저도 중국 정부가 한 달 안에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한다는 전제를 깔고 내놓은 수치다.  3분기 GDP 전망치는 기존 5.8%에서 2.3%로 낮추는 대신, 4분기 GDP 전망치를 5.8%에서 8.5%로 올려잡았다. 골드만삭스는 3분기 중국이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하고, 지방정부 채권 발행과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 등 다양한 재정·통화부양책을 내놓으면서 4분기 경기가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JP모건도 올해 중국 GDP 전망치를 기존 9.1%에서 8.9%로 낮췄고, 3분기 전망치도 4.3%에서 2.0%로 하향 조정했다. 모건스탠리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8.6%에서 8.2%로, 3분기 전망치는 1.6%로 낮췄다. 중국 국가 싱크탱크 전망도 비슷하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하 국가정보센터 주바오량(祝寶良)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9일 금융시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 소비와 제조업 투자 등은 회복하지만 수출과 부동산 개발 투자가 둔화세를 보이면서 하반기 성장률이 다소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3분기와 4분기 GDP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3%와 5%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1분기(18.3%)와 2분기(7.9%) 성장률에 비하면 대폭 낮아진 수치다. 그래도 올해 연간 GDP는 전년보다 8.7%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발표된 중국 경제 지표에서도 경기 둔화세는 뚜렷이 감지된다. 특히 제조업계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  지난달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 대비 9% 상승하는 등 지난 3월부터 매월 고공행진 중이다. 반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1% 상승하는 데 그쳤다. PPI와 CPI 상승률 간 격차만 8%포인트로 역대 최고치다.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 격차가 커질수록 기업 이익은 줄어든다.  중국 경제성장 견인차 역할을 했던 수출 전망도 불확실하다. 중국의 7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3% 증가하는 데 그쳐, 전월의 32.2% 증가에서 대폭 낮아졌다. 같은기간 수입도 28.1% 늘어 전월 증가율인 36.7%보다 크게 줄었다.   지준율 인하, 인프라 확대 등 추가 부양책 예상 경기 회복세 둔화 속 중국이 하반기 추가 재정·통화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중국이 하반기에 지급준비율 추가 인하와 인프라 투자 확대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했다. 인민은행은 지난달 15개월 만에 지준율을 0.5%포인트 내렸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도 9일 발표한 2분기 통화정책 집행보고서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지 않는 가운데 외부환경이 한층 어렵고 복잡해지고 있다"며 "중국 경제회복이 여전히 불안정하다"며 유연하고 적절한 통화정책을 유지할 방침을 시사했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학자들은 여전히 중국 경제 '낙관론'을 펼치고 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존재하면서 경제성장을 압박하고 있지만,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과 경제 정세를 고려해볼 때 중국 경제는 강한 회복력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여전히 경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우차오밍 차이신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제가 활성화된 동부,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일어났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하지만 (중국은) 코로나19 방역 능력이 미국 등 국가보다 현저히 높다. 방역에 성공하고 경제 회복을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