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정수석 출신 文대통령 발목 잡는 민정수석들
민정수석 출신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한 민정수석들이 정권의 발목을 잡는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 왼쪽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조국·김조원·김종호 전 민정수석, 신현수 현 민정수석. /임세준 기자, 뉴시스4연속 인사 구설…靑 민정수석 잔혹사[더팩트ㅣ청와대=허주열 기자] 청와대 민정수석이 문재인 대통령의 발목을 잡는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 지난 4년간 학자(조국), 감사원(김조원·김종호), 검찰(신현수) 등 출신을 바꿔가면서 4명의 민정수석을 썼지만, 모두 문제를 일으키면서 정권에 부담을 주는 존재로 전락했다.민정수석은 국민 여론 및 민심 동향 파악, 공직·사회기강 관련 업무 보좌, 대통령 친인척 관리 및 고위 공직자 인사 검증, 법률 문제 보좌, 민원 업무 담당 등 청와대 참모 중에서도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권력의 가장 핵심적 권한인 "인사권"과 "사정권" 모두 대통령을 보좌해 행사할 수 있는 자리인 만큼 청와대 내에서도 실세로 손꼽힌다.특히 문 대통령은 역대 민정수석 중 유일하게 민정수석직을 두 번 역임(2003.2~2004.2, 2005.1~2006.5)해 해당 업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임명한 4명의 민정수석 중 성공적으로 임기를 마친 인사는 없다. 모두가 다양한 사안으로 구설에 올랐다.문재인 정권의 유일한 검찰 출신 민정수석인 현 신현수 수석은 당초 뛰어난 업무 역량과 인품으로 문 대통령의 임기 말까지 함께하면서 "민정수석 잔혹사"를 끝낼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하지만 신 수석은 임명 두 달도 안 돼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 검찰 인사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소외된 뒤 수차례 사의를 표명했다. 그때마다 문 대통령이 만류했지만, 끝내 사표를 제출했고 대통령의 결단만 남은 상태다.이 과정에서 "법무부 vs 검찰" 갈등에 이어 "법무부 vs 민정실" 갈등까지 드러나 권력 내부 균열이 외부로 노출됐다. 이에 청와대는 "박 장관과 신 수석 간 검찰 인사를 둘러싼 갈등이 있었고, 조율되지 않은 인사안을 박 장관이 대통령 승인을 받아서 발표해 신 수석이 사의를 표명했다"라면서 "휴가에서 돌아온 뒤 문 대통령에 거취를 일임해 일단락됐다"고 애매모호한 수습을 시도하다가 실패했다.결국 신 수석은 법무부와 검찰 갈등 중재라는 본연의 임무에 실패한 데 이어 자신의 거취 문제로 문 대통령에게까지 누를 끼치고 있다. 당장 야권에선 신 수석 사퇴 파동으로 문재인 정권의 레임덕이 드러났다고 공세를 펼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수차례 사의를 표명한 뒤 사표까지 낸 신현수 민정수석의 거취를 두고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제공3대 민정수석인 김종호 전 수석은 임명 4개월 만에 추미애·윤석열 갈등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무리한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를 시도하다가, 법원의 제동에 걸리면서 징계안을 재가한 문 대통령도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태가 됐다.이에 김 전 수석은 윤 총장 징계 사태와 관련된 청와대 주무 수석으로서 책임으로 통감하고 조기에 청와대를 떠났다. 이와 함께 김 전 수석은 추·윤 갈등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조율자의 역할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2대 민정수석인 김조원 전 수석은 13개월가량 재직하면서 별다른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다 다주택 논란으로 불미스럽게 사퇴했다. 다주택자를 죄악시하는 문재인 정권에서 김 전 수석은 청와대 고위직 중 유일하게 강남에 집 두 채를 가진 인사로 도마 위에 올랐다.김 전 수석은 잠실 아파트를 시세보다 비싸게 내놓아 한 채 "매각 시늉"만 한다는 지적이 나온 뒤 매매 의사를 철회해 여론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이에 야권에선 "직" 대신 "집"을 택했다는 비판이 쏟아졌고, 실제 "집"을 택한 김 전 수석은 청와대를 떠나면서 퇴임 인사도 하지 않고 떠나 퇴임하는 모양새도 부적절했다는 비판을 받았다.문재인 정권 초대 민정수석인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가장 오랜 기간인 2년 2개월가량을 민정수석을 재직하면서 반복된 인사 검증 실패, 민정수석실 근무기강 해이, 남에게는 한없이 엄격하고 본인과 가족에게는 한없이 관대한 모습을 여러 차례 보여주면서 세간의 비판을 받았다.그런데도 문 대통령의 굳건한 신임을 바탕으로 민정수석에 이어 법무부 장관까지 오른 조 전 수석은 아내와 자녀 등이 연루된 다양한 비리 의혹으로 재판을 받고 있다. 아내 정경심 씨는 조 전 수석도 관련된 사안인 자녀 입시비리와 사모펀드 비리 등으로 1심에서 징역 4년 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됐다.문재인 정권 민정수석 잔혹사는 아직 진행형이다. 문 대통령은 사퇴 의사를 굽히지 않은 신 수석을 교체할지, 유임할지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둘 중 어느 쪽으로 결론을 내려도 불행한 민정수석 역사는 지속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email protected]